나무 조각을 삼켰다면
작은 나무 조각을 삼켰을 때는 매우 당황스럽고 불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침착하게 대처하면 대부분의 경우 큰 문제없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연간 보고되는 이물질 섭취 사례 중 약 80%는 자연 배출된다고 하니까요.
의료진도 이렇게 말해요
대부분의 작은 이물질은 자연스럽게 배출되지만, 나무 조각의 경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크기와 모양에 따라 식도나 장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3cm 이상의 나무 조각이나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는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의 통계에 따르면, 연간 약 200건의 나무 조각 섭취 사례가 보고되며, 이 중 약 15%가 의료적 처치를 필요로 하다고 합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주의하세요
➤ 목 부위의 통증이나 불편감 (특히 삼킬 때 날카로운 통증)
➤ 삼키기 어려움 (음식이나 물을 마실 때 30초 이상 지속되는 통증)
➤ 가슴 통증 (특히 깊게 숨을 쉴 때 더 심해지는 통증)
➤ 복통 (특히 우측 하복부의 날카로운 통증)
➤ 기침이나 호흡 곤란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렇게 대처하세요
즉시 해야 할 일
물을 천천히 마셔서 나무 조각이 내려가게 도와주기 (150-200ml 정도의 미지근한 물 권장)
부드러운 음식(빵, 밥)을 조금 먹어보기 (3-4숟가락 정도)
심각한 통증이나 호흡 곤란이 있다면 즉시 병원 방문 (가까운 응급실로 이동)
이런 경우는 꼭 병원에 가세요
➤ 2일 이상 불편감이 지속될 때 (특히 식사 시 불편감이 있는 경우)
➤ 열이 날 때 (37.8도 이상의 발열이 있는 경우)
➤ 심한 복통이 있을 때 (특히 압통이 있거나 살짝만 눌러도 아픈 경우)
➤ 토하거나 피를 토할 때 (선홍색 피나 검붉은 피 모두 해당)
이렇게 예방하세요
✅ 음식을 천천히 꼭꼭 씹어 먹기 (한 입당 20-30회 씹기 권장)
✅ 나무젓가락 사용 시 갈라진 부분 확인하기 (사용 전 손으로 만져보며 확인)
✅ 이쑤시개 사용 자제하기 (대신 치실 사용 권장)
✅ 음식 먹을 때 집중하기 (TV 시청, 태블릿, 스마트폰 사용 자제)
⚠️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일!
❌ 일부러 구토 유도하기 (식도 손상 위험이 2배 이상 증가)
❌ 더 많은 음식을 강제로 먹기 (위장 손상 위험 증가)
❌ 증상이 심각한데도 병원 가기를 미루기 (합병증 발생 위험 30% 증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나나 냉장고에 보관하면 안되나요? 제대로 보관하는 방법 (0) | 2025.03.26 |
---|---|
딱 1년 근무 후 퇴직하는 경우 퇴직금 지급 되나요? 계산법 (0) | 2025.03.25 |
당뇨발 합병증과 절단 수술, 이것만은 꼭 알아두세요 (0) | 2025.03.24 |
해외 거주자를 위한 한국 필수 구매 아이템 총정리 (요리/의약품/생활용품 등) (0) | 2025.03.23 |
당뇨 환자의 가려움증, 이렇게 관리하세요! 경험자가 알려주는 완화 방법 (0) | 2025.03.21 |
블랙올리브 녹색올리브 차이는? 종류, 혈당지수, 먹는 법 (0) | 2025.03.20 |
밥에 올리브유 말아 먹으면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 위험 없을까? (0) | 2025.03.20 |
식사 직전 스쿼트로 다이어트 정체기 뚫은 (-8kg) 방법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