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하루 10분, 엄마의 돈 공부. 가계부 월 소비 예산안 예시

by 라온 RAON 2022. 1. 15.
반응형


하루 10분, 엄마의 돈 공부 by 김혜원


진정으로 부자가 되고 싶다면 화려한 재테크 기술이나 기교, 발 빠른 정보보다 (물론 그런 것들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반드시 필요하다) 나만의 부자 기준과 내가 가질 수 있는 부자 그릇을 먼저 알아야 한다.

하루 10분, 엄마의 돈 공부 by 김혜원

 

이 글을 시작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읽고 난 뒤 한 문장이라도 마음을 움직였다면, 그다음에는 일상에서 할 수 있는 걸 바로 실천해 보라.

하루 10분, 엄마의 돈 공부 by 김혜원

 

 

하루 10분, 정성껏 공들이는 부의 시간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하루에 10분만 자신에게 투자하라. 그리고 ‘제대로 진지하게’ 해내길 바란다. 대충 시작한 일은 대충 마무리되기 십상이고 또 반드시 구멍이 생긴다. 이 구멍을 나중에 메우기는 쉽지 않다. 그러니 처음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

 

“스타벅스 커피 한 잔보다 편의점에서 사 먹는 맥주 한 캔이 더 좋았던 나는 당시에는 몰랐지만 우리가 지금 흔히 말하는 ‘경제적 자유’를 조금 일찍부터 꿈꿨던 것 같다. 그래서 등기부등본의 표제부 갑구에 소유자 명의로 내 이름 석 자를 올리고 싶었고, 무언가를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랐다. 그게 내 기준에서 주민등록증에 걸맞은 진짜 ‘성년’ 자격이 주어지는 어른이라고 생각했다.”

 

 

 

“정서적 부자는 ‘삶’과 ‘시간’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은 ‘충족감’을 느끼고 ‘기쁨’을 추구한다. 이렇듯 남이 아닌 내 기준에서 부자로 살아야 한다.

 

미국에서는 많은 사람이 부를 정의할 때 ‘스트레스 없는 마음의 평화’를 이야기했다. 한국에서는 10억 원, 100억 원 또는 부동산 몇 개 하는 식으로 숫자나 물리적 기준에 잣대를 두면 반면 외국에서는 삶, 사람, 상태에 그 기준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며칠 전 내가 내 인생에 던졌던 몇 가지 질문과 답이 생각났다.

 

내가 원하는 것은 ‘돈’ 그 자체가 아니라 ‘만족’, ‘감사’, ‘행복’, ‘기쁨’, ‘축복’, ‘충만’, ‘확장’이더라. 또한, 내가 사람들에게 듣고 싶은 말은 ‘진심으로 감사하다’였다.

 

나는 내 인생에서 이런 것들을 느낄 수 있다면 그게 부자라고 생각한다.

 

 

 

 

가계부는 정답, 하루 10분 거꾸로 가계부

 

“하루에 10분만 시간을 내서 거꾸로 가계부를 쓰고 실천한다면 당신의 나머지 인생도 당신 스스로 써나갈 수 있을 것이다”

 

 

 

[거꾸로 가계부란?]

 

돈에는 꼭 이름표를 달아주어야 한다. 꿈과 미래의 플랜이 담긴 이름표를 달아주면 그 꿈과 미래가 '돈'이라는 말을 타고 달리게 된다. 그 이름표를 달아주는 방법은 바로 '거꾸로 가계부'를 쓰는 일이다.

그것은 꿈과 목표가 선명한 라이프맵을 그린 후 거꾸로 오늘부터 미래의 그날을 위해 얼마의 돈을 저축하고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써 내려가는 가계부다. 이것만 실천하면, 돈을 모으고 불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 인생도 꿈도 바로 세울 수 있다는 것을 나는 내 삶 속에서 입증해왔다.

 

나는 미래의 내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 나가면서 가계부를 통해 시간을 거꾸로 끌어당겨 '그날의 나'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기록했다. 그리고 매일 'TO DO LIST'를 통해 하루를 관리해왔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계부에 지출을 기록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왜 돈을 모아야 하는지, 소중한 내 돈을 현명하게 쓰고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체적인 그림부터 그려야 한다는 점이다.

 

 

 

가계부를 쓸 때 주의할 점

 

내역은 너무 꼼꼼하게 적지 않는다. 사과 10개에 9,900원, 땅콩샌드 2,980원, 무 1개 1,280원… 이런 식으로 너무 세세하게 적으면 두 달 안에 제풀에 지치기 십상이다. 그리고 이렇게 기록하는 건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사실 뭘 얼마에 샀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다.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바로 흐름을 파악하는 일이고, 낭비를 줄여서 그만큼 기회비용을 고려해 자산을 불리는 데 목적이 있다는 걸 명심하자. 나무만 쳐다보다가 숲에서 길을 잃는 꼴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자.

 

 

책에 소개된 월 소비 예산안과 월수입 흐름 예시 (약간 수정)

월 소비 예산안
가계부

구분
항목
예산
메모
월 소비 목표
생활비
고정
집 관련 평균 공과금(월세 등)
0

교통/주유비
0

통신비(핸드폰, 인터넷)
0

대출 이자
0

마트 재료 식사비(외식비 제외)
0
계획 식단 및 재료 소분 및 보관
교육비
0

기타(용돈, 경조사비 등)
0

변동
외식비
0

문화생활(영화 등)
0

레저 유흥(여행 등)
0

미용비(뷰티, 꾸밈비 등)
0

쇼핑비(백화점 등)
0

기타
0

투자 소비(미래 경쟁 자본)
학습, 경험, 네트워크, 모임 등
0

합계
0







월수입 흐름
월평균 수입
수입
구분
항목
금액
메모
고정
평균 월급
0
월급
변동
크라우드픽
0

애드포스트
0

애드센스
0

합계
0

 



말과 돈은 반드시 연결된다

 

만약 말처럼 된다면, 내가 오늘 내뱉은 좋지 않은 말이 결국 현실로 비친다고 하면, 말도 함부로 해선 안 될 것 같다. 의식적으로라도 좋은 말을 달고 살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런 노력이 정말 중요하다.

 

가장 완벽한 말 습관은 바로 ‘감사’함이다. 지금 내 앞에 있는 사람과 살아 있는 이 환경에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기를 바란다. 그런 사람의 말은 결국 사람을 끌어당기고 그 사람과 사람이 만나 돈이 흐르고 그 돈이 나에게 말미에 찾아올지도 모르니까.

 

 

 

— 하루 10분, 엄마의 돈 공부 by 김혜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