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쿠싱증후군의 발생 원인, 진단, 치료, 식이요법 총정리

by 라온 RAON 2022. 11. 24.
반응형

양쪽 콩팥 위에는 ‘부신’이라는 한 쌍의 장기가 있습니다. 부신은 인체의 대사작용을 위한 필수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장기로, 대표적으로 ‘코르티솔’ 호르몬을 만듭니다.

 

코르티솔 호르몬은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항하기 위해서 필요한 호르몬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경우 몸에 질환이 나타나게 되며, 대표적인 질환으로 ‘쿠싱증후군’이 있습니다.

 

쿠싱증후군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오랜 기간 동안 쿠싱증후군 상태에 있게 되면 비만, 고혈압, 당뇨병 그리고 불임을 겪을 수 있으며, 면역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뇌 기능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합니다.

 

 

쿠싱증후군의 원인

쿠싱증후군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 1) 부신에서 코르티솔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경우 2) 뇌하수체의 문제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이 많이 만들어지는 경우 3) 알레르기, 천식 및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항염증제)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쿠싱증후군의 증상

- 목, 가슴, 등, 배에 지방에 몰리고 상대적으로 팔다리는 가늘어보이는 ‘중심성 비만’ 

- 얼굴에 지방에 축적되면서 달덩이처럼 크고 둥글어짐

- 목 뒤에 볼록한 지방에 축적되는 ‘버팔로 혹’

- 피부가 얇아지고 멍이 쉽게 듦

- 배 혹은 엉덩이에 튼살처럼 보라색 선이 생김

- 잦은 피로감

- 고혈압, 당뇨

 

 

쿠싱증후군의 진단방법

1) 혈액검사

혈액에서 코르티솔 농도가 올라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2) 소변검사

24시간 동안 모은 소변에서 코르티솔 배출량을 확인합니다. 

 

3) 호르몬 부하검사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약을 투여한 뒤 난 뒤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합니다.

 

4) 영상 검사(CT, MRI)

쿠싱증후군의 원인이 종양으로 의심되는 경우 검사합니다.

 


 

쿠싱증후군의 치료

1) 부신피질 호르몬제 복용으로 인한 쿠싱증후군의 경우

부신피질호르몬제 약물을 서서히 줄이다가 약물 복용 중단으로 치료합니다. 주의할 점은 쿠싱증후군의 증상이 있더라도 부신피질 호르몬제는 갑자기 중단하면 안 되고 꼭 의사의 처방 하에 수개월 간에 걸쳐 서서히 용량을 줄여야 합니다.

 

2) 다른 위치(폐 등)의 종양으로 인한 쿠싱증후군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로 종양을 제거합니다.

 

 

그 밖의 쿠싱증후군 치료 방법으로는 호르몬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쿠싱증후군에 좋은 음식

1) 단백질 및 칼륨이 풍부한 식단 섭취

코르티솔은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몸의 근육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생선, 콩, 렌틸콩, 고기, 두부, 저지방 요거트, 치즈는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입니다. 매 끼니마다 이러한 단백질을 포함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칼슘 부족 증상, 칼슘 일일 권장섭취량, 칼슘이 풍부한 음식 TOP 3 [클릭]

 

2) 저염식

쿠싱증후군의 과도한 코르티솔은 혈압을 상승시켜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을 악화시키는 나트륨이 가능한 음식 섭취를 피하고 과일이나 채소 섭취를 늘리도록 합니다.



3) 칼슘과 비타민D 섭취 늘리기

쿠싱증후군은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칼슘과 비타민D는 뼈를 강화하므로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한 건강한 식단을 권장합니다. 여기에는 우유, 요거트, 치즈, 케일, 브로콜리, 배추, 통곡물이 있습니다. 음식으로 칼슘과 비타민D를 섭취하는 것이 어렵다면 보조제를 섭취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성인은 매일 약 800mg의 칼슘과 5~15 마이크로그램의 비타민D 섭취가 권장됩니다. 

 

 

쿠싱증후군에 좋은 생활습관

쿠싱증후군 환자 중 일부는 당뇨병이 있으므로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탄수화물 조절 식단을 따라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 활동도 중요합니다. 운동은 체중 증가와 근육 손실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매주 2일 이상 근력 운동을 하고 매주 최소 2~3시간의 유산소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